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폴란드볼 세계지도/2023년

덤프버전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폴란드볼 세계지도
,
,
,
,
,



1. 개요
2. 유럽
2.1. 동유럽
2.2. 중부유럽
2.3. 남유럽
2.4. 서유럽
2.5. 북유럽
3. 아시아
3.1. 동아시아
3.2. 동남아시아
3.3. 남아시아
3.4. 서아시아
3.5. 중앙아시아
4. 아프리카
4.1. 동아프리카
4.2. 서아프리카
4.3. 중앙아프리카
4.4. 남아프리카
4.5. 북아프리카
5. 아메리카
5.1. 남아메리카
5.2. 북아메리카
5.3. 중앙아메리카
6. 오세아니아
6.1. 오스트라시아
6.2. 멜라네시아
6.3. 폴리네시아
6.4. 미크로네시아
7. 기타


1. 개요[편집]


파일: 2023_Country_ball_Map.png
2023년 컨트리볼 세계지도

역시 전반적으로 상황이 좋지 않다.

  • 지도 위 왼쪽 : 메소포타미아 문명을 묘사한 듯한 이라크가 고대문명을 표현한 듯한 고대 조각을 만들고 있다.

  • 지도 위 가운데 : 시대별 글씨체로 제목을 만들었다. 차례대로 쐐기문자, 이집트 상형문자, 중세 필기체, 근대 타자기체, 현대 인터넷체로 묘사되었다.

  • 지도 위 오른쪽 :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의 컨트리볼이 폭죽놀이를 보고 있다. 화약으로 추정되는 검은 가루를 자루에 넣고 있는 송나라의 옆에는 화차를 준비한 조선이 그려져 있다. [1] 그 외에는 우마이야 왕조, 방정식이 써진 책을 읽고 있는 아바스 왕조,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묘사한 듯한 비행기 모형을 든 피렌체 공화국, 아메리카 원주민,포르투갈 왕국스페인 제국이 보인다.
  • 지도 아래 왼쪽 : 19세기를 배경으로 칙칙한 하늘에서 붉은 안개로 이루어진 거대한 옴스크가 내려오는 것으로 산업혁명으로 인한 공해를 묘사하였다.

  • 지도 아래 가운데 : 핵전쟁을 묘사하였다.

  • 지도 아래 오른쪽 : 역사적인 발명과 과학기술 발전을 묘사하였다.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을 묘사한 듯한 전화기를 든 1868~1921년 캐나다 국기로 표현된 캐나다, 라이트 형제를 묘사한 듯한 플라이어 비행기를 탄 미국, 뤼미에르 형제를 묘사한 듯한 영화를 찍는 프랑스, 페르디난트 그라프 폰 체펠린을 묘사한 듯한 비행선을 탄 독일 제국 등이 있다. 미국과 소련의 우주경쟁도 묘사하였으며, 좀 더 오른쪽에는 폴란드가 라이히탱글로 묘사된 챗GPT와 대화하고 있다. 폴란드는 우주에 갈 수 있냐고 물어보고, 그러자 챗GPT는 폴란드가 별들 사이에 있는 어린이가 그린 듯한 그림으로 화답한다.

2. 유럽[편집]



2.1. 동유럽[편집]



: 호랑이에게 물리고 긁혀서 피투성이가 되어 있다.#
  • \
    파일:사하 공화국 국기.svg
    사하 공화국
    @출력@

    : 시베리아에 위치한 다이아몬드 광산에서 메탄 폭발이 일어나 3명이 사망했다.
  • \
    100%{{{#!html }}}{{{#!html 출력=inline국가]]
    추코트카

    : 사라진 비행기를 찾고 있다.
  • \ ta-hash-start=w-a0e68eef1f198901b5304baef06b526f
    칼리닌그라드 주
    칼리닌그라드
  • ta-hash-start=w-7e8d7e5ccbddfd9576be61e3ab86aa73
    [[파일:@깃발@ 깃발.svg
    깃발 명칭
    칼리닌그라드
    ta-hash-start=w-4f5d25e8a1869d43356bfd165f4fb256
    [[파일:깃발.svg
    문서명
    칼리닌그라드

    : 자기 자신을 봉쇄하고 있다.
  • \
    파일:100%
    기 명칭
    옴스크
    파일:100%
    깃발 명칭
    옴스크
    ta-hash-start=w-1ff67dee51f1ac941e56c91f81735f26
    [[파일:옴스크 주기.png
    옴스크주
    옴스크

    : 러시아 클레이들을 분쇄기에 넣어 갈아서 미사일로 만들고 있다.
  • \
    파일:100%
    기 명칭
    유대인 자치주
    파일:100%
    깃발 명칭
    유대인 자치주
    ta-hash-start=w-ed17f88e58d9ae324290400add79fced
    [[파일:유대인 자치주기.svg
    유대인 자치주
    유대인 자치주

    : 팔레스타인 깃발이 꽂힌 신문을 읽고 있다.
  • \
    파일:100%
    기 명칭
    크라스노 야르스크
    파일:100%
    깃발 명칭
    크라스노 야르스크
    ta-hash-start=w-e757852199c96e39152d28c1efea00c0
    [[파일: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기.svg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크라스노 야르스크

    : 작은 볼들이 선거를 요구하고 있으나 큰 볼은 바이러스 이야기를 하며 안 된다고 하고 있다.
  • \
    파일:100%
    기 명칭
    크림 공화국
    파일:100%
    깃발 명칭
    크림 공화국
    ta-hash-start=w-af53aa7073dfd26c04ac4055055dd716
    [[파일:크림 공화국 국기.svg
    크림 공화국
    크림 공화국

    무인기로 인한 폭발에 여러 사람들이 날라가고 있다.
  •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출력@

    : 러시아핵이 그려진 종이를 얼굴에 붙이고 있다.
  •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출력@

    : 온몸이 상처와 멍 투성이지만 그럼에도 러시아에게 새총을 쏘며 저항하고 있다. 한쪽에선 미국의 지원이 줄어들어 노심초사하고 있고, 한쪽에선 EU에 가입하지 못해 힘들어하고 있다. 그리고 18~60세 남성들 뒤에 철책앞에 서있다.
  • \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출력@

    : 러시아의 미사일을 보며 "안 돼"라고 하고 있다.
  • \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출력@

    : 몰도바를 쳐다보고 있다.
  • \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출력@

    : 2023년 여름 중부 유럽을 덮친 홍수로 국토의 3분의 2가 잠기는 참사가 있었다.
  •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출력@

    : 2023년부터 기존 쿠냐에서 유로화를 공식 통화로 제정했다.
  •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출력@

    : 코소보와 대치중이며, 한쪽에선 중국제로 보이는 미사일을 들고있다.
  • \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출력@

    : 러시아를 지지하는 스릅스카 공화국을 붙잡고 한심한 듯 쳐다보고 있다.
  • \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출력@

    : 세르비아를 째려보는 중이다.
  • \ : 우루과이 깃발을 들고 있다.
  • \ :
  • \ : 조용히 담배를 피고 있다.
  • \ : 어떻게 정부 운영을 하는지 보고 있다.
  • \ : 어떻게 해야 EU에 가입할 수 있는지 보고 있다.
  • \ : 프라이드 플래그를 들고 있다..
  • \ : 프라이드 플래그를 들고 있다..
  • \ : 나토가 그려진 방패를 들고 놀라고 있다.

  • 2.2. 중부유럽[편집]



    2.3. 남유럽[편집]



    2.4. 서유럽[편집]



    2.5. 북유럽[편집]



    3. 아시아[편집]



    3.1. 동아시아[편집]




    3.2. 동남아시아[편집]



    3.3. 남아시아[편집]



    3.4. 서아시아[편집]



    3.5. 중앙아시아[편집]



    4. 아프리카[편집]



    4.1. 동아프리카[편집]



    4.2. 서아프리카[편집]



    4.3. 중앙아프리카[편집]



    4.4. 남아프리카[편집]



    4.5. 북아프리카[편집]



    5. 아메리카[편집]



    5.1. 남아메리카[편집]



    5.2. 북아메리카[편집]



    5.3. 중앙아메리카[편집]



    6. 오세아니아[편집]



    6.1. 오스트라시아[편집]



    6.2. 멜라네시아[편집]



    6.3. 폴리네시아[편집]




    6.4. 미크로네시아[편집]



    7. 기타[편집]



    [1] 2022년 세계지도에도 조선이 화차로 추정되는 물건과 함께 그려져있었다.[2] 독일을 위한 대안은 극우 성향 정당이라서 독일의 뒤쪽에 나치가 고개를 내밀고 있다.[3] 헝가리는 폴란드와 혈맹이라 불릴 정도로 오랫동안 동맹관계였다. 그러나 헝가리에 친러 성향 독재정권이 들어서고, 동유럽의 대표적인 반러국가 중 하나인 폴란드와의 관계가 위태로워졌다.[4] 안에 있는 보물은 서기 4세기 로마 시절에 주조된 청동 동전들이다.[5] 베네딕토 16세는 2023년을 하루 앞두고 선종하였다.[6] 49.3은 프랑스 헌법 49조 3항을 뜻한다.[7] 2023년 6월부터 만 나이로 통일을 하였는데, 2023년 8월 15일 이전까지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 74년 차 이기 때문. 즉 대한민국의 나이를 만으로 표현하였다.[8] 사실 대중이 자신의 의사를 충분히 표명한 것처럼 보이기 위한 쇼에 가까운짓인데 애초에 해당 투표는 찬성표는 녹색 표시 투표함에, 반대표는 적색 표시 투표함에 각각 투입하는 공개투표 방식이다.(...) 즉 당국의 용인 없이는 애초에 반대표가 나왔다고 보도할 수 없는 구조라는 것. 한국의 통일부 당국자는 "(투표함 색을 달리해서) 공개투표를 실시한 것인데, 이런 식의 공개투표가 자유로운 민주국가에서 볼 때 얼마나 이상하게 비칠지 그러한 인식조차 없이 노동신문에 사진을 게시한 것 자체가 안타깝다"고 개탄했다.#[9] 중국이 새로 발표한 지도에 남중국해를 아예 중국이 독점하는 형태로 그려져 있었기 때문. 이에 남중국해와 인접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크게 반발하였다.[10] 컨트리볼에서는 마약에 중독된 국가들의 눈을 붉게 그리는 특징이 있다. 대표적으로는 대마가 합법인 것으로 유명한 네덜란드와 한때 마약 갱단으로 유명했던 콜롬비아 등이 있다.[11] 2023년에 인구 1위 국가가 중국에서 인도로 바뀌었기 때문.[12] 분쟁 지역이었으나 2023년에 아제르바이잔에 편입되었다.[13] 옆에 아주 작게 stop 이라는 팻말과 이겨라 또는 상황을 역전시켜라(flat)라는 팻말을 들고 있다.[14] 팔레스타인이 밀려서 피를 흘리고 있다.[15] 영어로 권리와 맞다가 둘 다 Right이라는 걸 이용한 말장난.[16] 우즈베키스탄은 2023년부터 로마자를 공식 문자로 채택했다.[17] 쿠페와 쿠데타의 철자가 비슷한 것을 이용한 말장난.[18] 코트디부아르가 개최국이기 때문.[19] 여담으로 당시 라이베리아 대통령 조지 웨아는 젊은시절 아프리카 최고라고 불리던 축구선수였으며, 2022년 세계지도에서 언급되듯 아들 또한 미국 대표팀에서 뛴 적이 있다.[20]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은 대표적인 친러 국가이다.[21] 앞은 성장률, 뒤는 전쟁 가능성이 동시에 올라간다.[22] 에콰도르 대통령이 탄핵 위기에 몰리자 헌법에 따라 사임하면서 국회를 해산하였기 때문.[23] 퇴보는 포르투갈어로 Regressão인데, 맞춤법이 틀렸다.[24] 2023년 아르헨티나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하비에르 밀레이가 물가 폭등 상황인 아르헨티나를 개혁하겠다며 선거 유세에서 전기톱을 들고 나오는 일종의 퍼포먼스를 하였기 때문.[25] 핀란드가 2023년 NATO에 가입했기 때문이다.[26] 두 국가 모두 2023년 가봉 쿠데타2023년 니제르 쿠데타로 아프리카 연합 자격이 정지되었다.

    관련 문서